공무원 시험을 준비하는 분들이나 현직에 계신 분들이라면 아마 '2026년 봉급은 어떻게 될까?'라는 생각 많이 하셨을 거예요.
최근 몇 년 동안 물가 상승률을 따라가지 못하는 봉급 때문에 고민도 많으셨을 텐데요. 정말 반가운 소식입니다!
정부가 오늘(2025. 8. 29.) 국무회의에서 2026년 공무원 보수 인상률을 3.5%로 확정 발표했습니다. 😊
이는 올해(3.0%)보다 0.5%포인트 높은 수치로, 지난 2017년 이후 무려 9년 만에 가장 큰 폭의 인상이에요.
그럼, 3.5% 인상된 2026년 공무원 봉급표를 함께 확인해보고, 직급별로 얼마나 더 받게 되는지, 그리고 어떤 수당들이 추가로 인상되는지 꼼꼼하게 알아볼까요?
2026년 일반직 공무원 봉급표 (3.5% 인상 적용) 📊
먼저, 가장 궁금해하실 2026년 일반직 공무원 봉급표입니다.
아래 표는 기본급에 대한 인상분만 반영된 금액이며, 각종 수당은 포함되지 않았다는 점을 참고해 주세요.
직급/호봉 | 2025년 봉급 | 2026년 봉급 (3.5% 인상) |
---|---|---|
9급 1호봉 | 2,000,900원 | 2,070,932원 |
9급 5호봉 | 2,374,100원 | 2,457,194원 |
8급 1호봉 | 2,028,200원 | 2,099,187원 |
7급 1호봉 | 2,173,600원 | 2,250,176원 |
6급 1호봉 | 2,308,700원 | 2,389,455원 |
5급 1호봉 | 2,798,500원 | 2,896,447원 |
봉급표는 기본급만 나타낸 것이므로, 실제 수령하는 금액(실수령액)은 여기에 각종 수당과 상여금이 더해지고, 세금과 연금 기여금 등이 공제된 금액이에요. 특히, 저연차 공무원들의 처우 개선을 위해 추가적인 인상안이 논의될 가능성도 있다는 소식입니다.
봉급 외, 함께 인상되는 수당들! 💰
봉급 인상도 반가운 소식이지만, 매달 생활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수당 인상 소식도 정말 중요하죠. 2026년에는 봉급 인상 외에도 몇 가지 수당이 함께 오를 예정입니다.
- 직급보조비: 6급 이하 공무원의 직급보조비가 월 25,000원 추가 인상되어 기존 145,000원에서 170,000원으로 오르게 됩니다.
- 정액급식비: 정액급식비는 월 20,000원 인상되어 140,000원에서 160,000원으로 늘어납니다.
- 초과근무수당 감액 조정률: 7, 8급 공무원의 초과근무수당 감액 조정률이 기존 55%에서 60%로 확대 적용됩니다.
봉급 인상률 3.5%는 전체 공무원 평균 인상률이며, 각 직급과 호봉별로 적용되는 인상률은 조금씩 다를 수 있습니다. 특히, 저연차 공무원들은 봉급표 인상률보다 더 높은 인상률이 적용될 수 있다는 점을 기억해 주세요.
2026년 공무원 봉급 인상, 왜 3.5%일까? 🤔
사실 많은 공무원 노조들은 6.6% 이상의 인상률을 요구했었어요. 그런데 왜 최종 인상률은 3.5%로 결정되었을까요?
정부의 이번 결정은 단순히 물가 상승을 반영한 것을 넘어, 최근 심화되고 있는 젊은 공무원들의 퇴직률 증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의지가 반영된 것으로 보입니다.
실제로 2019년 6,500명 수준이던 임용 후 5년 이내 퇴직 공무원 수는 2023년 13,566명으로 두 배 이상 증가했어요.
정부는 민간 기업과의 보수 격차를 줄이고, 우수한 인재들이 공직에 유입될 수 있도록 처우를 개선할 필요성을 느낀 거죠.
글의 핵심 요약 📝
지금까지 살펴본 2026년 공무원 봉급 인상안의 핵심 내용을 다시 한번 정리해드릴게요!
- 봉급 인상률: 2026년 공무원 보수가 3.5% 인상됩니다. 이는 9년 만에 최고 수준의 인상폭이에요.
- 수당 인상: 직급보조비(6급 이하) 25,000원, 정액급식비 20,000원이 추가로 오릅니다.
- 인상 배경: 젊은 공무원의 퇴직률 증가와 민간과의 보수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정부의 노력으로 풀이됩니다.
자주 묻는 질문 ❓
지금까지 2026년 공무원 봉급 인상안에 대해 자세히 알아봤습니다. 이번 인상안이 공무원분들의 사기 진작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네요. 혹시 더 궁금한 점이 있다면 댓글로 편하게 물어봐주세요! 😊